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복숭아 나무 잎오갈병 방제 시기! 21종 질병 및 8종 해충 예방·관리 로드맵

by neostop0305 2025. 5. 26.
반응형

복숭아나무 병충해 방제 시기! 21종 질병 및 8종 해충 예방·관리 로드맵

복숭아 재배는 ‘달콤한 열매’라는 보상만큼이나 병충해 관리가 까다롭습니다. 병원균·해충의 종류가 많고 활동 시기가 제각각이라, 기상 변화에 따라 언제든 폭발적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 기온 상승과 장마 지연·집중호우 패턴은 곰팡이성 질환의 만성화와 해충 월동률 증가라는 이중 악재를 낳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복숭아 농가에서 실제로 문제 되는 21종 질병8종 해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각 병해·해충의 특징·피해 양상·핵심 방제 포인트까지 담았으니, 월별 관리 캘린더를 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복숭아나무 21종 질병 리스트업

  1. 흑성병(복숭아 점무늬병) – 장마철 과실·신초에 흑갈색 원형 반점, 5 월 폭발적 발생.
  2. 세균성구멍병 – 5 월 상순 첫 발생, 우기·안개 많은 6 월 최고조. 잎 구멍·과실 궤양 유발.
  3. 갈색구멍병(褐斑穿孔) – 저온 다우 환경에서 잎 원형 병斑·구멍.
  4. 곰팡이성 구멍병(霉斑穿孔) – 영양 부족·토양 과습 시 잎·과실 다갈색 반점 후 구멍.
  5. 탄저병 – 6 월 이후 고온다습 조건에서 과실 동심원 모양 움푹 팬 병斑, 오렌지색 포자.
  6. 갈색부패병(褐腐병) – 꽃·과실 부패, 회갈색 곰팡이 군락·동심원.
  7. 감염성 유출병(侵染性 유출) – 5 월·8 월 두 차례 고점, 줄기·과실 투명 수액 분비.
  8. 비감염성 유출병(非侵染性) – 장기간 가뭄 뒤 폭우, 노목에서 수액 과다 분비.
  9. 가지궤양병(복숭아 가지 부패) – 4 – 6 월 심화, 주간 궤양·붉은 수액, 급속 고사.
  10. 잎말림병(축엽병) – 4 월 새잎 비틀림·비대, 심하면 수확 전 낙엽.
  11. 뿌리혹병(근암병) – 뿌리 근경부 종양, 활착 불량·수세 약화.
  12. 화잎병(모자이크·바이러스) – 잎 황색 얼룩·줄무늬, 생육부진·결실 저하.
  13. 목재부패병(목부병) – 노령목 심재 썩음, 동심원형 부패, 전신 쇠약.
  14. 뿌리혹선충병 – 연작 토양에서 뿌리혹, 영양 흡수 장애.
  15. 과실부패병(실부패) – 과실·가지 썩음, 병斑 龜甲(거북등) 모양 갈변.
  16. 연부패병(软腐) – 고온고습 7 월, 과실 연녹색 부패·백색 곰팡이.
  17. 적엽병(紅葉病) – 20 ℃ 이하 저온기, 새잎 붉게 변색·조기 낙엽.
  18. 그을음병(煤污) – 흡즙 해충 분변에 검은 곰팡이, 광합성 급감.
  19. 뿌리썩음병(根腐) – 봄·가을 수분 과다 토양, 급성 시 3 일 만에 잎 시듦.
  20. 열과(裂果) – 성숙기 급격한 수분 변화, 과피 종·균열.
  21. 수축과병(縮果, 붕소 결핍) – 착과 초기 과피 굳어 갈라짐, 신초 괴사.

복숭아나무 8종 해충 리스트업

  1. 복숭아순나방(桃蛀螟) – 6 월 이후 과실·신초 관통, 황갈색 수액·충진물.
  2. 복숭아심식나방(桃小食心虫) – 어린 과실 내부 굴식, 생리낙과·기형과.
  3. 복숭아진딧물(桃蚜) – 새순 말림·잎 소실, 꽃눈 분화 저해.
  4. 복숭아구형깍지벌레(桃球坚蚧) – 가지 흡즙, 밀접 군락으로 수세 급감.
  5. 복숭아배나무좀(桃红颈天牛) – 성충 산란 후 유충이 줄기·주간 깊이 갉음, 고사.
  6. 복숭아잎굴나방(桃潜叶蛾) – 잎 내부 뱀 모양 굴터널, 조기 낙엽.
  7. 차노린재(茶翅蝽) – 잎·과실 흡즙패해, 과실 기형·목질화.
  8. 두점박이응애(二斑叶螨) – 잎 면 흡즙 소모, 회색 반점·낙엽, 광합성 급강하.

방제 핵심 가이드

1. 시기별 기본 원칙

  • 휴면기(12 월–2 월): 석회유황합제·석회보르도액 살포로 월동 병원균·해충 알 원천 차단.
  • 발아·개화 전후(3 – 4 월): 구리제 위주 예방, 스트로빌루린·트리아졸계 교호 살균, 기름성 살충제로 알·저항성 응애 타격.
  • 비대기·장마 전(5 – 6 월): 내성 관리 중점, 보호·치료제 혼용, 해충 약제는 살충 스펙트럼 폭넓게 로테이션.
  • 고온·장마기(7 – 8 월): 탄저·褐腐 적극 방제, 디아미드계·아바멕틴계 살충, 페로몬 트랩·교미교란 병행.
  • 수확 전(9 월): 생물농약·저독성 약제로 잔류 최소화, 잿빛곰팡이·갈색무늬 집중 체크.
  • 수확 후·낙엽기(10 – 11 월): 낙엽·병든 가지·낙과 전량 회수·소각, 구리제 희석액로 1차 살균.

2. 약제 로테이션 & 혼용

  • 같은 작용기구번호(Mode of Action) 연속 사용은 내성 폭발의 지름길.
  • 살균제는 보호제(접촉형) ↔ 침투·치료제(시스템성) 번갈아 살포.
  • 살충제는 난·유충·성충 표적을 달리해 2 회 이상 교차 살포.

3. 통합적 관리(IPM) 포인트

  • 환경관리: 과밀지剪·잡초 제거·배수로 정비로 습도↓ 통풍↑.
  • 유기물 시비: 퇴비·유박으로 토양 물리성 개선 + 규산·석회로 pH 안정.
  • 친환경 기법:
    • 유황·유박추출물·천적(진딧물 기생칠성노린재, 칠성무당벌레) 도입
    • 광반사 필름(진딧물 기피), 끈끈이 트랩(나방·노린재 성충 포획)

결론

복숭아 과원은 병해 21종, 해충 8종이라는 복합적 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제는 복잡하지 않습니다.

  1. 종합 리스트로 위험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2. 월별·생육 단계별 방제 캘린더를 세운 뒤,
  3. 약제 계통별 로테이션·과원 위생관리·친환경 보조 기술을 꾸준히 실천하면 됩니다.
    이 세 가지만 지키면 고품질 복숭아를 수확하면서도 농약 비용·노동력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체계적인 IPM 전략으로 병충해 스트레스 없는 달콤한 수확을 경험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